대출,카드 정보
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 보는 법 + 청년 금융제도 자격 쉽게 확인하는 방법
절세백서
2025. 6. 2. 12:41
반응형
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 보는 법 + 청년 금융제도 자격 쉽게 확인하는 방법
정부의 청년 금융지원 제도를 신청할 때 가장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각종 주거·복지 지원에서 이 중위소득 기준을 넘느냐 못 넘느냐에 따라
가입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를 해석하는 방법과,
내가 어떤 청년 금융제도에 해당하는지 쉽게 확인하는 팁을 정리해드립니다.
1.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매년 보건복지부를 통해 ‘기준 중위소득’을 고시하고,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예를 들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조건은
해당 가구의 소득이 전체 중간 이하인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입니다.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180% 기준 (청년도약계좌)
1인 가구 | 약 2,202,000원 | 약 3,963,600원 |
2인 가구 | 약 3,638,000원 | 약 6,548,400원 |
3인 가구 | 약 4,688,000원 | 약 8,438,400원 |
4인 가구 | 약 5,700,000원 | 약 10,260,000원 |
5인 가구 | 약 6,655,000원 | 약 11,979,000원 |
※ 실제 고시 수치는 매년 보건복지부 발표 기준 확인 필요
3. 중위소득 계산 방법
(1) 가구원 수 확인
- 주민등록등본 기준 동거인 포함 여부 확인
- 단독 거주자의 경우 1인 가구로 판단
(2) 총소득 확인
- 본인의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등 합산
- 월 단위로 환산하여 기준표와 비교
(3) 가구소득과 기준표 비교
-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 → 청년내일저축계좌 가능
- 중위소득 180% 이하 → 청년도약계좌 가능
4. 소득기준에 따른 맞춤 제도 요약
내 소득 수준 가능한 제도
중위소득 50% 이하 | 청년내일저축계좌 (고지원형) |
중위소득 100% 이하 |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지원형) |
중위소득 180% 이하 | 청년도약계좌 (매칭 금액 차등) |
소득 無 또는 무직 | 지역별 청년지원정책 / 비과세 적금 활용 |
5. 청년금융제도 자격 빠르게 확인하는 팁
- 복지로(www.bokjiro.go.kr) → 자가진단 → 금융지원 항목
- 내 소득기준과 조건 입력하면 신청 가능한 제도 자동 추천
- 모바일 인증을 통해 금융정보 제공 동의하면 정확도 상승
마무리
중위소득 기준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정부 금융지원의 진입 문입니다.
정확한 소득 계산과 가구원 확인을 통해 내가 어떤 제도에 해당하는지 먼저 파악해보세요.
청년 금융정책은 조건에 맞는 사람이 먼저 움직일수록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