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재산도 상속세 낼까? – 국외 자산 상속 시 과세 기준과 신고 방법”

2025. 6. 18. 11:03세금한줄요약

반응형

 

“해외 재산도 상속세 낼까? – 국외 자산 상속 시 과세 기준과 신고 방법”


 

1. 해외 재산도 상속세 낼까?

“해외에 있는 부동산이나 예금도 상속세 대상인가요?”
국내 거주자가 사망하면서 남긴 해외 자산 역시 일정 조건 하에 국내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된다.
해외 상속은 이중과세 문제, 환율 반영, 해외 금융기관 신고 의무 등 복잡한 요소가 많아 반드시 이해하고 준비해야 한다.


2. 국세청 기준 – 해외 재산도 과세 대상

  • 피상속인이 사망 당시 ‘국내 거주자’인 경우
    → 전 세계 모든 재산에 대해 상속세 과세
  • 피상속인이 비거주자라면, 국내 소재 재산만 과세

3. 과세 대상이 되는 해외 자산의 종류

  • 해외 부동산
  • 해외 주식, 펀드, 예금, 보험
  • 해외 법인 지분, 해외 현금성 자산
  • 해외 법인 명의로 된 실질적 개인 소유 자산

4. 평가 기준과 신고 방식

  • 사망일 기준 환율을 적용해 원화 환산
  • 현지 감정평가서, 현지 금융자산 증명서 등 제출 필요
  • 해외 소재 국가와의 이중과세 조약 여부에 따라 일부 공제 가능
  • 한국 외 다른 나라에서도 세금을 납부한 경우, 외국납부세액공제 가능

5. 자주 발생하는 이슈

  • 해외 예금·주식 누락 시 고의 은닉으로 간주될 수 있음
  • 국세청은 CRS(국제 금융정보 자동교환 시스템) 통해 해외 금융정보 수집
  • 신고 누락 시 가산세 외에 조사 및 범칙 조치로 확대될 수 있음

6. 실무 팁

  • 상속개시 전부터 해외 재산 목록 관리 및 명의 정리 필요
  • 현지 세무사 또는 회계법인과 협력 필요
  • 국내와 해외 양측에서 세금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유리

마무리

해외에 자산이 있다고 해서 세금 문제가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국내 거주자’라는 조건 하나만으로도 전 세계 자산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외 세무환경을 모두 고려한 전략과 신고가 필요하다.
특히 고액자산가나 해외 이민자 가족일수록 더욱 철저한 준비가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