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법 세금은 얼마나?
2025. 7. 2. 07:11ㆍ절세전략노하우
반응형
“집 팔면 세금 얼마 나올까?”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팔 때 생기는 차익(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계산 방식이 복잡하고,
보유기간, 거주기간, 장기보유특별공제, 고가주택 여부, 중과세 적용 여부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세금이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정확한 양도소득세 계산법과 실전 예시를 알려드립니다.
🔍 1. 양도소득세 기본 계산 공식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과세표준 = 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 – 기본공제(250만 원)
세액 = 과세표준 × 세율 (6%~45%)
🧾 2.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2025년 기준)
조건 공제율
보유만 15년 | 최대 30% |
거주 + 보유 15년 | 최대 80% |
단, 1가구 1주택만 적용 가능 | |
→ 다주택자는 장특공 배제 |
📊 3. 실전 시뮬레이션 예시
[사례]
- 서울 아파트 매도
- 매입가: 6억
- 매도가: 12억
- 보유 10년 + 거주 10년
-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일부 초과
① 양도차익 = 12억 – 6억 = 6억
② 장기보유공제 (보유+거주 10년) = 6억 × 40% = 2.4억
③ 과세표준 = 6억 – 2.4억 – 250만 원 = 약 3.575억
④ 예상세액 (세율 약 24%) ≈ 약 8,500만 원
⚠️ 4. 절세 변수 요약
항목 영향도
보유기간 | 장기공제 여부 결정 |
실거주 여부 | 고공제율 적용 가능 |
고가주택 여부 | 비과세 or 일부 과세 갈림 |
주택 수 | 중과세율 적용 여부 결정 |
분양권, 상가 | 주택과 과세 체계 다름 |
📌 5.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 → 세금 0원 가능
- 고가주택은 시가 12억 기준 초과분만 과세
- 부부 공동명의 → 양도차익 분산
- 장기보유 + 실거주 요건 충족 후 매도
- 필요경비 증빙 (중개수수료, 인테리어 비용 등) 철저히 확보
✅ 정리
양도세는 계산식 자체는 단순하지만,
적용 조건과 공제 항목이 매우 복잡한 세목입니다.
특히 1주택자라고 해도 가격이 올라간 상태라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매도 전 세액 시뮬레이션을 꼭 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반응형
'절세전략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 증여세 무신고 (2) | 2025.07.08 |
---|---|
형제자매에게 돈 보내줬는데, 증여세 내야 할까? (1) | 2025.07.08 |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완벽 정리 (3) | 2025.06.26 |
주택 보유세 총정리 – 재산세 vs 종합부동산세 (1) | 2025.06.25 |
부동산 취득세율 알고 매매하세요. (1)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