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법 세금은 얼마나?

2025. 7. 2. 07:11절세전략노하우

반응형

“집 팔면 세금 얼마 나올까?”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팔 때 생기는 차익(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계산 방식이 복잡하고,
보유기간, 거주기간, 장기보유특별공제, 고가주택 여부, 중과세 적용 여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세금이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정확한 양도소득세 계산법과 실전 예시를 알려드립니다.


🔍 1. 양도소득세 기본 계산 공식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과세표준 = 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 – 기본공제(250만 원)  
세액 = 과세표준 × 세율 (6%~45%)

🧾 2.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2025년 기준)

조건 공제율

보유만 15년 최대 30%
거주 + 보유 15년 최대 80%
단, 1가구 1주택만 적용 가능  
→ 다주택자는 장특공 배제  

📊 3. 실전 시뮬레이션 예시

[사례]

  • 서울 아파트 매도
  • 매입가: 6억
  • 매도가: 12억
  • 보유 10년 + 거주 10년
  •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일부 초과

양도차익 = 12억 – 6억 = 6억
장기보유공제 (보유+거주 10년) = 6억 × 40% = 2.4억
과세표준 = 6억 – 2.4억 – 250만 원 = 약 3.575억
예상세액 (세율 약 24%) ≈ 약 8,500만 원


⚠️ 4. 절세 변수 요약

항목 영향도

보유기간 장기공제 여부 결정
실거주 여부 고공제율 적용 가능
고가주택 여부 비과세 or 일부 과세 갈림
주택 수 중과세율 적용 여부 결정
분양권, 상가 주택과 과세 체계 다름

📌 5.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 → 세금 0원 가능
  • 고가주택은 시가 12억 기준 초과분만 과세
  • 부부 공동명의 → 양도차익 분산
  • 장기보유 + 실거주 요건 충족 후 매도
  • 필요경비 증빙 (중개수수료, 인테리어 비용 등) 철저히 확보

✅ 정리

양도세는 계산식 자체는 단순하지만,
적용 조건과 공제 항목이 매우 복잡한 세목입니다.
특히 1주택자라고 해도 가격이 올라간 상태라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매도 전 세액 시뮬레이션을 꼭 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반응형